새누리당의 여의도연구원이 향후 EBS 방송ㆍ교재의 연계 출제를 폐지하고, 논술을 선택과목으로 도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 입시 개선안을 내놓았다고 합니다.
주요 내용으론
▷EBS 방송ㆍ교재 대신 교과서 중심 100% 출제
▷적정 난이도ㆍ상대평가 방식 유지
▷서술형 등 미래 역량 측정 문항 포함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하는 ‘공동 논술’을 수능 선택과목으로 도입하자는 개정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로 인한 논술 사교육의 줄어듬 및 공교육에서의 논술수업을 확대시키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개선안이 어떤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일단 새누리당의 전시성 정책이라고 느껴지는게, 난립하고 있는 출판사별 교과서에 관한 문제입니다.
각 출판사별로 교과서를 출시하고 각 학교에서 이를 선택하게 되는데, 교과서 중심 100%라고 한다면 교과서의 일원화가 우선시 되어야 하겠죠.
적정난이도와 상대평가 방식유지는.... 여태까지 안 그래왔다는 건가요?
논술ㆍ적성고사를 통해 만만치 않은 전형료 수입을 올리고 있는 대학들의 반발도 심할거라 생각되구요.
또한 이번 개선안은
▷수능-EBS 70% 연계 출제
▷쉬운 수능 등 교육당국의 대입 기조와 정면 배치되는 개선안입니다.
지속적으로 바뀌는 교육정책에 공교육현장이 제대로 돌아가기는 할까하고 궁금한 저입니다.
항상 느끼는 바이지만 우리나라의 어른들은 현재 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한 파악을 못하고 있습니다.
아니면 파악하고 있지만, 대외적으론 부정하고 상황에 맞추어 선거철에 표를 얻기위한 실험용 정책을 편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겠네요.
제가 생각하는 현 교육의 문제점은, 무한경쟁체재에 들어선 시점에서 소위 잘 살기 위한 직업의 선택이 고학력과 연관될 수 밖에 없는 사회분위기에서부터 출발합니다.
현재 청년실업률이 10%대에 달할만큼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취업시장에 고학력, 고스펙의 졸업생들이 매년 찍어져 나오다싶이 하는 상황입니다.
대기업에서 원하는 기준선은 이러한 학생들로 인하여 점점 더 높아져가고 있고, 이 기준을 맞추기 위한 출발선이 대학입시가 되어가는 것입니다.
예전부터 학벌을 중요시하게 생각했던 우리나라의 사회분위기가 아이들에게 무겁게 다가 올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사회적인식은 어떻습니까?
소위 공고, 상고등으로 불렸던 특수목적고등학교는 일부학교를 제외하면 중학교때 공부 못하는 애들이 가는 학교!
외고, 과고, 자사고등은 중학교때 공부 잘하고 똑똑한 애들이 가는 학교라고 우리에겐 인식되어져 있습니다.
(물론 사회전반적인 분위기를 이야기할 뿐 실제로 그렇다는건 아닙니다.)
그렇다면, 저런 일시적인 대학 입시 개선안을 마련할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사회인식의 변화를 통해서, 학생들이 더 많은 직업적 선택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지만, 우리나라에선 그러한 노력이 전혀 없다고 보입니다.
여기서 이야기한 장기적인 변화는 어떤한 직업이라도 충분한 보상과, 사회적 지위를 갖을 수 있다라는 인식을 사회전반에 심어주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라는 것입니다.
특별한 정책이 필요하냐고 물으신다면, 그렇지 않아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티비에서는 여러프로그램에서 셰프들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으며, 인기있는 패션디자이너들 또한 예전과 다르게 접하기 쉬워졌습니다.
방송국 PD는 인기는 있었지만, 바쁘고 금적적으로 성공하긴 힘들다는 인식이 여러 종합편성채널 및 케이블을 통해서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대중매체를 통해서 우리가 평소에 자주 접했지만, 잘 알지 못했던 직업군을 하나하나 소개해나간다면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고정관념 또한 바뀌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공영방송 뒀다가 뭐할 건가요?)
사회적 인식변화가 뒷받침된 상황에서 공교육의 다변화를 한다면, 많은 학생들이 지금처럼 줄세우기식의 공부에 매달리지만은 않고 조금이라도 빠르게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입시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학년도 정시 배치표 (0) | 2016.12.16 |
---|---|
2015년 모의고사 일정 (0) | 2015.05.20 |
2017년 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문/이과 시험범위 (0) | 2015.05.16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2016년 고3대상) (0) | 2015.05.14 |
댓글